입력측과 출력측의 각각에 원인이 생각되므로, 아래와 같이 구분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입력측
(1) 입력측의 구동회로에 누설전류에 의한 복귀불량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책방법으로는 브리더 저항을 넣어주세요.
위의 그림과 같이 브리더 저항을 접속하여, OFF 시의 SSR 입력전압이 0.5V 이하가 되도록 브리더 저항치를 설정해주세요.
(2) 유도 노이즈에 의해 입력회로에 전압이 유기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책방법으로는 동력선과 신호선을 떨어뜨려주세요. 또한 트위스트 선이나 실드선에서 유기전압을 SSR의 복귀전압 이하로 낮춰서 사용해주세요.
출력측
(1) SSR의 누설전류에 의한 복귀불량
SSR에는 입력신호가 없을 때라도, 출력(LOAD)측에 수 mA의 누설전류 IL가 흐릅니다. 그 때문에, 이 누설전류가 부하의 복귀전류보다 큰 경우, 복귀불량의 원인이 됩니다.
누설전류 대책으로는, SSR의 누설전류를 바이패스 하기 위해 브리더 저항 R을 부하와 병렬로 접속해주세요.
※ 미소부하의 경우, 위와 같이 브리더 저항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만, MOS FET 릴레이를 사용하면 브리더 저항 없이도 직접 미소부하의 개폐가 가능합니다.
(2) 역률이 낮은 부하의 복귀불량
부하의 역률이 낮은 경우(기준cosΦ=0.4이하), 부하전원 전압위상에 대한 부하전원위상의 지연이 커져, SSR이 OFF할 때에 (부하전류가 제로 부근) 큰 과도전압(dv/dt)이 SSR에 더해져 OFF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류(轉流) 실패)
이 과도전압의 변화율을 억제하기 위해, SSR에는 CR의 스내버 회로를 내장하고 있습니다만, C치를 크게 하면 누설전류가 증가되어 1)항의 복귀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최대공약적인 수치로 되어있습니다.
이 때문에 부하역률이 낮아져 복귀불량이 된 경우, SSR의 LOAD 단자와 병렬로 CR을 접속함으로써, 과도 전압의 변화율을 억제할 수 있고, 복귀불량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부하와의 매칭의 확인이 필요합니다만, 지금까지의 경험상 100Ω/1W+0.1μF/ AC250V로 방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누설전류도 증가하므로, 1)항의 복귀불량이 없는 지도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