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극봉의 주의 사항
① 전극봉을 절단할 경우, 절단면의 면취(모따기: chamfering)처리를 해주십시오.
② 전극봉의 간격에 주의해 주십시오.
해수나 오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극간의 간격을 충분히 유지해 주십시오.(통상 1 m)
간격을 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저감도용 61F-G□ND, 61F-GP-ND를 사용해주십시오.
③ 코먼(어스) 전극은 길게.
전극은 短, 中, 長 3개를 1set로 최단전극을 E1, 중간전극을 E2, 최장전극 E3로
접속해 주십시오.
이 경우, 최장 전극 E3는 다른 전극봉보다 적어도 50mm이상 길게 해주십시오.
④ 동작 레벨에 주의해 주십시오.
액면이 전극봉의 끝에 닿아도, 액체의 종류나 전원 전압의 변화로 인해 동작 위치에
다소 변동이 있습니다.
⑤ separator를 사용해 주십시오.
전극봉의 길이가 1m이상이 되는 경우, 전극의 이음새마다 separator를 넣어 수중에서
전극봉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해주십시오
⑥ 전극봉을 테이핑할때는 주의해 주십시오.
전극봉이 수중에서 접촉하지 않도록 비닐 테이프를 감는 경우, 끝부분까지 감지 말고,
적어도 100mm는 남겨 주십시오.
⑦ 전극봉은 수직으로 설치해 주십시오.
절연부에 물 때 등이 붙기 쉬워 절연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으니, 전극봉은 수직으로
설치해 주십시오
⑧ 전극봉은 청소가 필요합니다.
설치후, 6개월 정도 경과한 시점에 한 번 전극봉을 끌어올려 미세한 사포등으로
표면에 붙은 피막을 제거해 주십시오.
그 후에도 1년에 1~2회는 청소해주십시오.
쓰레기, 물 때가 많은 액체에 사용하는 경우는 특히 전극봉 표면에 절연성 피막이
생겨 동작 불량의 원인이 됩니다.
3개월에 한 번 정도는 표면의 절연 피막을 제거해 주십시오.
오수조 등, 오물, 유막, 쓰레기가 많은 경우는 하기그림과 같은 파이프를 사용해 주십시오.
• φ4″(인치)정도 이상의 파이프를 사용합니다.
• 오물의 퇴적 예상량을 고려해 파이프 하단을「사선 절단」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설치해 주십시오.
•파이프 상부에 약 φ10(mm)의 통풍구를 뚫어 주십시오.
※ 정수등에서 흐름의 빠른 경우나 요동이 큰 경우는, 밑그림과 같이 방파관을
설치해 주십시오.
• φ4˝(인치)정도 이상의 파이프를 사용합니다.
• 각 전극봉의 첨단 부근에φ6~φ10(mm) 정도의 구멍을 4개 이상 마주보게 뚫어
 파이프내의 액체의 순환이 잘되도록 합니다.
• 파이프 상부에 약φ10(mm)의 바람구멍 구멍을 뚫어 주십시오.
• 전극대의 사용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