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1050
(☞ 링크 참조) 에 따라 기계의 리스크 크기를 평가하여 리스크 절감책을 시행하며
(☞ 링크 참조) 리스크 절감책에는 설계 및 안전 장치 설치에 따른 대책이 있습니다.
가장 먼저, 설계에 따른 대책으로 아래 표의 카테고리 사정 테이블에 의해 예측되는
부상의 정도(경상~중상까지)와 그 부상이 발생할 확률(거의 없음~항상까지)의 2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선택해야만 카테고리가 결정됩니다.
콘트롤 시스템의 안전 관련 부분의 안전 카테고리는 1대 기계의 제어 회로 전체에 1개의
카테고리가 평가 )되는 경우도 있고, 부분마다 사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래 표의 카테고리 사정 테이블에 따라 선택되어야 할 안전 카테고리가 결정되면,
링크 참조의 표에 의해 각 카테고리마다 요구되는 안전기능을 만족하는 회로를 설계해야 합니다.
S:부상의 정도
(S:Severity of Injury)
S1:경상(타박상 등)
S2:중상(손발의 절단、사망 등)
컨트롤 시스템의 안전성 관련 부분에서 고장으로부터 발생하는 리스크 평가를
최악의 부상 정도로 생각하고, 경상이면 S1을, 중상이면 S2를 선택합니다.
F:위험에 노출되는 정도
(F:Frequency and/or Exposure Time to the Hazard)
F1:희박하게 발생하거나 단기간
F2:빈번하게 발생하거나 장기간
예를 들면 작업자가 공장 부품을 설치・해체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가동중인 기계의 공구와
공구 사이를 언제든지 손을 넣을 필요가 있다면 F2가 선택하고, 기계 그 자체에 접근할 일이
거의 없다면 F1을 선택합니다.
P:위험을 피할수 있는 정도
(P:Poosibility of Avoiding the Hazard)
P1:가능
P2:피할 수 없음
파라메터 P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일례를 들면, 하기와 같습니다.
・운전이 감시하에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
・운전이 숙련공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
・기계가 위험을 동반할 정도로 고속 운전 상태가 아닌가?
・위험을 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시스템에 관해 안전에 대한 경험이 있는지 여부?
어떤 위험 사태가 발생할 때, 위험을 피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면 P2를, 그렇지 않다면
P1을 선택합니다.
위험 평가 사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