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의 평가는 우선 EN1050
(☞ 링크 참조)를 기초로 기계 전체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위험 체크를 계통적으로 시행하여 위험의 절감을 도모해야 한다.
1.『기계의 사용 상황 범위의 결정』이란,
Determination of the Limit of Machinery
『기계의 사용 상황 범위의 결정』이라는 것은 리스크 평가를 시행할 즈음 하기와 같은
항목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기계 사용가능횟수(耐用期間)의 각 단계에 대한 요구사항
・기계의 올바른 사용법과 동작 및 예상되는 오(誤)사용과 오(誤)동작을 포함한 기계의
한계를 결정한다.
・오퍼레이터의 성별, 연령별, 주로 사용하는 팔 또는 신체 능력(예를 들면 시각・청각 장해,
치수, 힘 등) 등에 따른 제한으로 기계의 사용 상황의 범위를 결정한다.
・예상되는 사용자의 훈련, 경험, 능력의 정도
・인간이 기계에 의해 위험에 처해질 가능성
2.『위험의 확인』이란,
Hazard Identification
기계에 수반되는 모든 위험 상태 및 위험 요소를 확인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기계적 위험:절단, 말림, 압축 파쇄 등의 위험
전기적 위험:충전부 접촉, 정전기 현상 등
열(熱)적 위험 :고온부 접촉, 고/저온 작업 환경에서 오는 건강 장해 등
기계로부터 발생하는 위험을 예측하는 것입니다.
3.『리스크의 추정』이란
Risk Estimation
기계의 위험한 상태 및 위험 요소를 확인 한 후 리스크 요소를 결정하여『위해(危害)를
일으키는 정도』와 『그 확률』로부터 위험을 추정합니다. 행합니다.
4.『리스크의 평가』란
Risk Evaluation
리스크를 추정한 후, 그 리스크를 리스크 절감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리스크의 절감이 필요한 경우, 설계 변경, 안전 방호(防護)조치 등의 안전대책을 시행합니다.
5.안전성 달성을 위한 반복 처리
1~4에 서술한 절차를 반복하여 리스크를 절감하고, 안전 대책을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