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접센서는 여러 가지 경로에서 노이즈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노이즈의 주파수대・레벨에 의해 오동작 모드가 바뀝니다.
■ 대표적인 오동작 현상의 예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출력 체타링
●검출물체의 유무에 관계없이, 센서가 물체를 검지했을 때의 상태인 채로 된다.
■ 노이즈 대책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실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오동작 발생 상황의 파악 (정량화)
● 발생 빈도
● 오동작 모드
● 전수 발생하고 있는지 ?
● 환경의 영향은 없는지 ?
2.노이즈 발생 근원의 특징
● 노이즈의 전반 경로는 (링크 에)나타나는 바와 같으며, 어느
경로의 노이즈인지를 특정한다.
● 특정기기의 동작과 센서의 오동작과의 관련이 있는지 ?
3. 노이즈를 내지 않는 대책
● 동작기기 및 그의 제어기기의 FG(프레임그랜드)의 접지를 확실히 한다.
4.노이즈를 받지 않는 대책
● 동력선과 신호선(센서의 배선)은 분리하여 배선한다.
● 다음에 나타나는 대책을 검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노이즈 대책 방법
- 노이즈원보다 설치대(금속)을 경유해 침입하는 경우
①인버터 모터와 설치 금속을 접지한다. (제3종 접지)
②노이즈원과 전원(0V측)을 콘덴서 어스 (0.1μF 630V)한다.
③센서와 설치대(금속)의 사이에 절연체를 넣는다. (고무, 수지 등)
- 노이즈원보다 공중을 전반해 직접 센서에 침입하는 경우
①센서와 노이즈원(스위칭 전원)의 사이에 쉴드판을 넣는다.
②노이즈원과 센서의 설치거리를 영향이 없는 곳까지 떼어 놓는다.
- 전원라인에서 침입하는 경우
①전원 라인간(+V・0V간)에서、콘덴서・노이즈필터・배리스터 등을
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