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접촉 온도센서에서는, 센서범위의 하한값과 상한값에 대해서 각각 독립
하여 보정하므로 직선보정 합니다. 따라서, 상한값과 하한값에서 다른
보정이 가능하므로 보정전에 대한 경향이 변할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상한값을 2℃, 하한값을 1℃ 보정하면, 50% 입력의 경우에는 그
평균값인 1.5℃ 보정됩니다.
상한값은 「상한온도 입력보정값」, 하한값은 「하한온도 입력보정값」
파라메터(조정레벨)에서 설정해주세요.
■ 입력보정값(2점보정) 구하는 방법
비접촉온도센서 ES1A와 E5□N을 접속시키면 + 수℃~+수십℃의 오프셋이
발생합니다.
그 때문에, 1점 보정 또는 2점 보정에 따라 지시값의 보정을 합니다.
또한, 오프셋은 비접촉 온도센서의 출력 임피던스에 온도조절기의 센서
에러 검지용 바이어스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2점보정은 비접촉 온도센서만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입력 종별에서는
설정할 수 없습니다.
1. 비접촉 온도센서의 입력사양에 따른 온도범위로 설정해주세요.
(ES1A는 E5□N의 열전대 타입만 대응할 수 있습니다.)
2. 2점보정을 하기 위해서 아래 그림과 같이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를 준비해주세요.
● 2점보정의 방법
1. 실온부근과 제어하고싶은 목표값 부근의 2점에서 지시값의 보정을 합니다.
그러기 위해, 대상물의 온도를 실온부근 및 목표값 부근으로 하여,
대상물의 온도 (B)와 E5□N의 지시값(A)을 확인해주세요.
2. 확인된 지시값과 보정하고싶은 온도를 다음의 계산식을 사용하여 상한
및 하한온도 입력보정값을 산출해주세요. 보정한 이미지를 아래그림으로
나타냅니다.
(1) 하한 온도입력 보정값

=(YL-Y1)÷(Y2-Y1)×{(X2-Y2)-(X1-Y1)}+(X1-Y1)・・・식1
(2) 상항 온도입력 보정값

=(YH-Y1)÷(Y2-Y1)×{(X2-Y2)-(X1-Y1)}+(X1-Y1)・・・식2
3. 산출값을

과

로 설정한 후, 온도조절기의 지시값(A)과 대상물의
온도(B)를 확인해주세요.
4. 여기서는 실온부근과 목표값 부근의 2점으로 보정을 했습니다만,
측정 온도범위내의 정도를 좋게 하고싶은 경우에는 실온에서가 아닌
측정온도범위 부근에 목표값 이외의 보정점을 잡아주세요.
● 2점보정의 예
여기에서는 ES1A의 K 0~260℃ 사양을 사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냅니다.
이 경우, 식1, 식2의 YL, YH는 설정온도하한 YL=0℃
설정온도상한 YH=260℃가 됩니다. 다음으로 대상물의 온도를 확인합니다.
실온 X1 =25℃일 떄는
온도조절기의 지시값 Y1 =40℃
목표값 부근의 온도 X2=110C일 때는
온도조절기의 지시값 Y2=105℃
으로 맞춘 때, 온도입력 보정값은 각각 아래와 같이 됩니다.
하한 온도입력 보정값

=(0-40)÷(105-40)×{(110-105)-(25-40)}+(25-40)
=-27.3℃
상한 온도입력 보정값

=(260-40)÷(105-40)×{(110-105)-(25-40)}+(25-40)
=-52.7℃
대상형식: E5AN, E5CN, E5EN, E5GN, ES1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