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은 원인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1.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한 릴레이 내부 구성 부품의 변형
릴레이 단품을 실수로 떨어뜨려 그 충격에 의해, 내부 구성부품이 변형하여 접점의
접촉 불안정 상태가 됩니다. 취급시 충분히 주의해 주십시오.
2. 접점 소모에 의한 수명
부하의 개폐로 접점은 소모되어 갑니다.
수명이 다하면 릴레이는 동작해도 도통 불안정 상태가 됩니다.
릴레이의 교환을 부탁드립니다.
3. 미소 부하 개폐시의 접점 접촉 불량
미소 부하 개폐 용도로 은이나 은합금 접점 재질의 릴레이를 사용하면, 황화 피막 등
절연성 피막을 생성하기 쉬워 접촉 불량이 될 수 있습니다.
미소 부하 개폐에는 금도금 등을 입힌 크로스바ㆍ트윈 접점이나 트윈 접점 릴레이를 추천합니다.
미소부하영역에서의 접촉 신뢰성 고려에 대해서는다음 링크를 참조하여 주십시오.
☞ 미소 부하 영역에서의 접촉 신뢰성 바로가기
4. 접점 사이에 끼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
특히, 노출형의 경우 접점 사이에 먼지, 성형분, 선설, 도료 등의 절연성 이물질이 끼면
접촉 불량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케이스 내장형 사용을 추천합니다.
5. 유도 부하 개폐시의 접점 접촉 불량
솔레노이드, 밸브 등의 유도 부하 개폐시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 방전에 의해
카본이 생성됩니다.
이 카본이 접점 표면에 쌓임으로써, 사용중인 부하에 따라서는 도통 불안정 상태가 됩니다.
부하에 적합한 써지 대책을 부탁드립니다.
☞ 역기전압(써지) (릴레이용어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