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정 원인】
접점측(출력측) 요인과 코일측(입력측) 요인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접점측(출력측) 요인
1) 접점의 용착
과대한 전류가 접점에 흘러 그 발열로 접점이 녹아서 들러붙은 채로 떨어지지 않는 현상입니다.
접점 회로가 합선됐을 경우나 과대 돌입전류가 흐르는 부하를 개폐하고 있는 경우 등에서
발생합니다.
2) 접점의 전이 (移転 ・Locking)
한쪽의 접점이 녹거나, 혹은 증발하여 다른쪽 접점으로 이전해 가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측의 접점이 凹, -측의 접점이 凸이 되어, 이 요철(凹凸)부 걸려 접점이
떨어지지 않게 됩니다. DC 과대 돌입 전류가 흐르는 램프 부하나 콘덴서 부하의 개폐,
또는 AC부하에서도 사용 조건에 따라 이러한 현상이 발생합니다.
3) 접점의 스태킹 (stacking)
특히 신호용 릴레이로 금 클래드(금도금) 접점 릴레이를 초음파 세정을 하면,
초음파의 에너지에 의해 접점이 용접된 것처럼 들러붙어서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초음파 세정에 대응할 수 있는 릴레이가 있습니다.
4) 접착물의 침입
릴레이 내부에 플럭스, 코팅제 등이 침입, 점착물을 생성하고 릴레이 구동부에 들러붙어
기계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입니다.
2. 코일측(입력측) 요인
5) 코일과 전원과의 배선 거리가 긴 경우
전원으로부터의 배선 거리(ℓ)가 긴 경우에는, 반드시 릴레이 코일 단자 양단의 전압을 측정한 후,
규정 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원 전압을 설정해 주십시오.
동력 라인등 과 병행하여 장거리 배선을 하면 코일 입력 전원이 OFF 때에,
전선의 부유 용량으로부터 릴레이 양단에 전압을 발생시켜 복귀 불량의 원인이 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코일 양단에 브리더 저항을 접속해 주십시오.
주1.CVV 케이블의 경우 :도체 공칭 단면적 22(7심), 선간 부유용량 0.15 0.25(μF/km)
주2.저항의 와트수는,참고값입니다. 반드시 실 사용회로를 확인하여 주십시오.
6) SSR로 릴레이를 구동하는 경우
SSR에는 입력 신호가 없을 때에서도, 출력(LOAD) 측에 수mA의 누설전류 IL이 흐릅니다.
따라서, 이 누설전류가 부하의 복귀전류보다 큰 경우 복귀 불량의 원인이 됩니다.
누설전류에 대한 대책으로는, SSR의 개폐 전류를 크게 하기 위한 브리더 저항 R을
부하와 병렬로 접속해 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