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머 및 카운터에서는 정전되는 경우는 자기 복귀 하지 않고
카운터는 전원 리셋(복귀) 하지 않고
정전 직전 상태를 기억해 두고 싶을 때에 사용하는 것을 정전 기억이라고 합니다
정전기억은 모터식 타이머 또는 전자 카운터에서는 메이커에 따라 실현하고 있지만
전자식 타이머 또는 카운터에서는 리튬전지 방식 또는 EEP-ROM방식에 의해
실현하고 있습니다
리튬전지 방식은 내부 제어 회로 및 표시 회로를 항상 리튬전지에
백업해두는 방식인 것에 비해
EEP-ROM방식은 정전시에 EEP-ROM에 필요한 데이터를 써 넣는 방식이라는 점이 다릅니다
따라서 리튬전지 방식은 리튬전지의 수명이 있고(약10년)
수명이 다하는 경우에는 정전기억 기능은 정지됩니다.
다만 그 외의 기능은 사용 가능합니다.
또 리튬전지의 교환은 전지 교환 순서가 명시가 안되어 있는 기종은
유저가 교환을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현행생산 기종에 대해서는
공장수리 대응이 가능합니다.
또한 전지교환은 다른 부품 특히 액정등의 수명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편, EEP-ROM방식은 EEP-ROM의 반복해서 쓸 수 있는 횟수의 수명과(약10만회)
EEP-ROM의 데이터 보존능력이 있습니다(약 10년)
데이터 보존능력에 대해서는 보통 사용하는 데에 문제는 없지만
반복해서 쓸 수 있는 횟수에 대해서는
특히 타이머에서는 전원단이 적은 사용 즉 전원스타트 말고
신호스타트에 의한 사용이 바람직합니다
또 리튬전지 방식은 백업방식이기 때문에 전원에 통전하지 않고
전면 키에 의해 기능설정이 가능한 것에 비해 EEP-ROM방식은 통전하지 않고
전면 키에 의해 기능설정이 불가능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다만 어떤 방식도 딥스위치 등에 의한 기능설정은 통정하지 않고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