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복 굴곡 사용에도 영향받지 않는 것(화이버 유니트의 가동부 설치 사용 중) |
|
|
화이버 유니트를 가동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반복 굴곡사용에도 영향을 잘 받지 않는 것이 있습니까?
추천기종으로는 E32-T11, E32-T21, E32-T22B, E32-D11, E32-D21, E32-D21B, E32-D22B의 7기종이 있습니다.
(굴곡 R4타입)
화이버의 허용굴곡반경은, 대부분 R25이상으로 되어있어, 허용굴곡반경 R4는 위의 7기종 뿐입니다.
화이버의 굴곡특성은, 화이버의 소선 지름(※1)에 크게 관계가 있으며,
직경에대해 3배이하의 굴곡 R은, 화이버에 무리한 힘을 가해 광학특성(광량※2)이 저하합니다.
형식 |
화이버 소선 직경 |
내굴곡 데이터(광량 유지율 ※3) |
E32-T11
E32-D11 |
16×φ0.265 |
굴곡반경R4에서 0.1만회 굴곡후(변화없음)/
100만회 굴곡후(약80%) |
E32-T21
E32-T22B
E32-D21
E32-D21B
E32-D22B |
4×φ0.25 |
굴곡반경R4에서 0.1만회 굴곡후(변화없음)/
100만회 굴곡후(약85%) |
E32-TC200
E32-DC200 |
1×φ1 |
|
※1 유연화이버(E32-□□R)는 허용굴곡반경은 R1이지만, 반복굴곡에 약하기 때문에 가동부에 설치할 수 없습니다.
※2 투과형에 광량 50% 감쇠로, 검출거리가 약 30% 다운 됩니다.
.jpg)
따라서, 상기의 화이버유니트는 미소스폿을 사용하는 것으로, 굴곡 R에 대해 강한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주의)
유연화이버(E32-□□R)은, 허용굴곡반경은 R1이지만, 반복굴곡에 약하기 때문에, 가동부에 설치할 수 없습니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