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근접센서의 검출 유형과 원리 |
|
|
근접 센서에는 검출 유형에 따라 유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식 근접센서가 있습니다.
각 센서 유형별 검출 원리와 검출 대상체는 하기 표 참고 바랍니다.
유형
|
대표 형식
|
검출 대상물
|
원리
|
유도형
근접 센서 |
E2E
시리즈 |
금속 등의 도체
, 철
, 알루미늄
, 황동
, 구리 등 |
외부 자기장의 영향으로 도체 표면에 발생하는 와전류로 인한 자기 손실을 감지합니다.
검출 코일에 교류 자기장을 발생시켜, 검출체가 되는 금속체에 발생한 와전류에 의한 임피던스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입니다.

|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
E2K
시리즈 |
· 금속
· 수지
· 액체
· 분말 등
(유전율에 따라) |
검출기와 센서 사이에 발생하는 커패시턴스(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합니다.
금속 또는 유전체가 접근하면, 정전 유도 효과에 의해 센서 내부의 전극과 대지 전위 사이의 정전 용량이 증가합니다.
이 전극의 정전 용량 변화에 따라 발진 진폭이 증가하여 검출 물체의 접근을 검지합니다.
검출 물체가 유전체(절연 물체)인 경우, 그 비유전율이 클수록 주전극과 대지 전위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커지기 때문에, 검출하기 쉬워집니다.
|
자기
근접 센서 |
형태 GLS
시리즈 |
자석 |
자석으로 스위치 리드편을 작동시킵니다. 리드 스위치가 켜지면 스위치가 켜집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