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CJ 시리즈 EtherNet/IP 유니트 |
|
CJ1W-EIP21/EIP21S
|
|
|
|
|
|
|
태그 데이터 링크 용량 최대 180,000CH 이상의 EtherNet/IP 장치
※ 2025년 03월 수주 종료 예정. 자세한 사항은 생산중지/추천대체상품가이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
|
|
|
|
|
|
|
|
|
|
|
|
Service Info |
 |
대체상품보기 |
|
대체상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
|
|
|
|
개방성·장래성이 높은 FA업계의 세계 표준
ODVA가 세계 각지에서 표준화를 추진하는 산업용 이더넷(Ethernet)
|
당사 컴퍼넌트(온도 조절기, 센서 등)는 물론 세계 각 사의 다양한 기기와 통신이 가능합니다.
향후 EtherNet/IP에 다른 멀티 벤더 환경을(로봇, 세이프티 기기 등) 가속화합니다.
|
|

|
정보계 LAN와 제어 전용 네트워크의 사용 분류 불불요
제어 라인과 정보 감시 라인을 EtherNet/IP로 Seamless 통신
|
세계 표준 오픈 프로토콜(CIP)을 채택하여 제어 라인과 정보 감시 라인 간의 Seamless한 데이터 흐름을 단일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실현할 수 있습니다.
표준 LAN이므로 오므론 FINS 메시지 통신과도 공존할 수 있습니다.
|
|

|
공통의 툴 조작으로 작업 효율 향상
EtherNet/IP와 DeviceNet의 툴은 조작성 통일
DeviceNet과 EtherNet/IP의 기기 설정·모니터·진단 및 프로그램 전송에 이용하는 툴은 공통 조작으로 원격지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
|
안전 시스템의 모니터링 가능
EtherNet/IP에서 안전 시스템을 모니터 할 수 있습니다
EtherNet/IP-DeviceNet 라우터를 이용하여 DeviceNet Safety와 EtherNet/IP를 조합하여 PLC측에서 안전 시스템을 모니터 할 수 있습니다.

|
기존과 매우 차이나는 대용량 데이터 링크【당사 대비 9배】
고속 대용량 버스를 통한 대용량 통신
공정 간 인터락 정보 및 제조 간 레시피로부터 생산 데이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데이터를 고속, 최적의 타이밍으로 교환 가능합니다.
당사 기존 네트워크 Controller Link나 FL-net과 비교해 압도적인 통신 성능을 실현했습니다.
|
|

* NJ시리즈 및 CJ2M 내장 EtherNet/IP포트 사용시 성능은 다릅니다.
|
라인별 저비용으로 확장 가능
이더넷 스위치를 통한 유연한 토폴로지
이더넷 스위치를 이용한 자유로운 배선·확장이 가능해졌습니다.
따라서, 통신로의 이상으로 네트워크 전체가 다운되는 일 없이 고성능 네트워크 퍼포먼스와 안전 확보가 가능합니다.
○통신 중 가입 이탈 가능
가동중인 노드의 탈착이 가능하고, 이상 발견,
분리, 복구 등 높은 보전성을 실현
○데이터 충돌에 의한 예측 불능의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배선 이상에 의한 영향을 라인 단위로 최소화
|
|

|
네트워크 시설·배선 코스트 삭감
범용 LAN 케이블 사용 가능
○LAN 케이블은 카테고리 5, 5e이상의 메탈 케이블을 사용 가능
○커넥터는 범용 RJ-45 커넥터를 사용 가능
|
범용 이더넷이므로 표준 무선 LAN을 이용 가능
레이아웃 변경 시 배선이나 재배선 불필요
○표준 무선 LAN을 이용하여 EtherNet/IP를 무선화 가능
○FA 무선 LAN WE70을 사용하면, 이동체에서도 고속 로밍 통신을 할 수 있는「스마트 로밍」이 가능.
또한, 액세스 포인트 간 통신(중계 기능)으로 통신 영역 확대가 가능.
|
|

|
애플리케이션에 최적인 주기에 고속 데이터 링크를 실현【당사 대비 30배】
유연한 고속 사이클릭 통신
|
○데이터 링크의 테이블을 복수 분할(그룹화) 가능
데이터 링크 테이블을 최대 256 그룹(=커넥션)으로 분할 가능.
그룹별로 애플리케이션에 최적인 통신 사이클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그룹별로 사이클릭 주기 설정 가능
통신 사이클은 0.5ms~10초까지 0.5ms단위로 설정. 커넥션 단위로 데이터 동시성을 보증. 노드 수가 증가해도 통신 사이클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또한, 통신 성능은 Controller Link의 30배 이상입니다.
예) 25대의 데이터링크 2만 CH/네트워크의 경우의 갱신 주기:
300ms → 10 ms로
○설비의 증가가 용이
설비 증가의 경우, 해당하는 테이블을 추가하기만 하면 단시간에 저비용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 NJ시리즈 및 CJ2M 내장 EtherNet/IP포트 사용시 성능은 다릅니다.
|
|

|
1 포트로 FTP, 데이터 링크, 툴을 동시에 사용 가능
다기능형의 EtherNet/IP포트이므로 EtherNet 유니트의 증설 불필요
|
|
CJ2/NJ의 CPU 내장 다기능형 EtherNet/IP포트를 사용하면 1포트만으로 주변 툴을 연결하여 PLC간 데이터 링크, PLC간 메시지 통신, FTP 전송 등 범용 이더넷 통신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물론, 기존에 설치된 CS1/CJ1에 EtherNet/IP유니트를 추가해도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
|

|
메모리 맵 관리가 불필요
태그에 의해 메모리 맵 으로부터 해방
|
장치간의 데이터 링크, 상위 애플리케이션과의 통신 시 송수신 영역 지정을 어드레스가 아닌「태그명」이라는 공통의 명칭으로 지정 가능.
설계·기동, 보수·개선 시 작업 효율을 향상합니다.
○터치판넬이나 상위 애플리케이션과의 동시 병행 개발 가능
터치판넬 화면은 CJ2/NJ로 정의한 태그명을 이용하여 설계할 수 있습니다. 정보 부분과 제어 부분에서 태그명을 결정하는 것만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후공정에서의 어드레스 할당 조정 시간은 불필요합니다.
○설비 개선·보수에 강함
PLC측에서 물리 어드레스 변경이 발생해도, 데이터링크 설정이나 터치판넬·상위 애플리케이션 측의 변경은 불필요합니다.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