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OF 명령>에 의해, 태스크를 대기 상태(WAIT)로 했을 경우 태스크내 출력은 점프 명령(JMP~JME)과 같이『유지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TKOF>로 태스크내 출력을 OFF시키려면 래더회로로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기에 그 회로 예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태스크 구성도
태스크내 출력 OFF회로를 소개하기에 앞서, 본 프로그램의 태스크 구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 제어 관리 태스크(00)
제어 태스크 1과 제어 태스크 2의 태스크 변환 처리를 행하는 관리 태스크입니다.
* 제어 태스크 1(01)과 제어 태스크 2(02)
실제 라인 제어를 맡는 제어 태스크로, 본 자료에서는 제어 태스크 1에 대해서만 설명되어 있습니다.
2.제어 관리 태스크의 래더회로와 Watch Window
[동작 설명]
(1) 태스크1 기동 신호(0.15)-ON로 <TKON 명령>을 실행
→ 태스크1 기동 플래그(TK01)가 ON되어 있는 것을 Watch Window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2) 태스크1 대기 신호(0.14)-ON로 통상적으로 구동시키는 <TKOF 명령> 대신에, 내부 보조 릴레이(W0. 01)를 1스캔 ON시키는 회로로 되어 있는 것에 주목해 주십시오. (W0. 01의 기능에 대해서는 4항에서 설명합니다)
3.제어 태스크1의 래더 회로와 Watch Window (기동 상태)
[동작 설명]
전항에서 설명한 제어 관리 태스크내의 태스크1 기동 신호(0.15)-ON으로, 제어 태스크1은 READY상태가 되고 그림3의 래더 회로 실행 결과, 출력 A, B, C가 모두 ON되어 있는 것을 래더 회로와 Watch Windowd로 확인해 주십시오.
4. 제어 태스크1의 래더 회로와 Watch Window (대기 상태)
[동작 설명]
(1)전술 2항의 태스크1 대기 신호(0.14)-ON에서 내부 보조 릴레이(W0.01)가 1스캔만 ON합니다. → 그림4・회로 번호1의 <인터록(IL)명령> 동작에 의해 <IL>~<ILC>간에 있는 <OUT명령>으로 지정된 릴레이는 OFF됩니다.
~릴레이(3.01) 참조~
(2) 태스크 대기 상태에서 OFF시키고 싶지 않은 릴레이는<SET/RSET 명령>이나 <KEEP 명령>을 사용하거나, 래더 회로를 <IL>~<ILC>밖에 기술해 주십시오.
~릴레이 (3.02)와 (3.03) 참조~
(3) 래더 회로・끝부분(회로 번호7) 태스크1 대기 신호(W0. 01)의 1 스캔 ON으로 <TKOF1>명령이 실행되어 제어 태스크1이 대기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을 Watch Window의 태스크1 기동 플래그(TK01)-OFF로 확인해 주십시오.